달이부부 일상/재테크

[적정주가]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3편 가치 평가

달이부부 2021. 3. 7. 12:48
반응형

 

안녕하세요 

달이 부부의 달이 남편입니다.

 

오늘은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3편인 가치평가[적정주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기업 분석인 1편, 2편을 안 보셨다면 아래 링크로 참고 바랍니다.

 

2021/03/01 - [달이부부 일상/재테크] - [기업분석]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1편 기업 소개

 

[기업분석]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1편 기업 소개

안녕하세요 달이 부부의 달이 남편입니다. 바이든이 대통령으로 부임한 이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인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환경 문제로 인하여 탄소배출을 전 세계 적으

moon-couple.tistory.com

 

2021/03/01 - [달이부부 일상/재테크] - [기업분석]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2편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기업분석]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2편 수익성,성장성,안정성

안녕하세요 달이 부부의 달이 남편입니다. 오늘은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2편으로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주의사항 : " 투자는 반드시 스스로 공

moon-couple.tistory.com

 

※ 번외 상대평가 vs 절대 평가

 

가치 평가 진행 전 평가에는 크게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입니다.

 

아파트를 예시로 쉽게 설명드리면

 

상대평가 : 아파트 매매하기 전에 동일한 아파트 또는 주변 아파트 시세와 비교하여 비싼지 싼 지에 대한 가격을 판단

 

절대 평가 : 아파트를 월세로 놓았을 경우 투자 대비 월세 수익률이 몇%이며 이게 타당한 매매 가격인지 판단

 

 

1. 상대 평가

 

아래 Data는 넥스트에라(NEE)의 10년 치 재무제표 평가 Data입니다.

여기서 8 항목에 대해 지표를 확인하고 논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Revenue(매출액)

 

2020년 기준 NEE 6.29%(19,204 → 17,997)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 및 맹추위(파이프관 동파 문제 야기)로 인하여 전기 유틸리티의 수요 및 공급에 차질이 생겨

다소 매출액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업 자체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코로나의 경우 2021년부터는 회복세로 돌아서 점차 코로나로 인한 수요 감소는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미국의 경우 주기적인 한파로 인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들어가는데

이는 점차적으로 NEE에서 피해 범위를 감소시켜가는 추세입니다.

 

그러기에 15명의 애널리스트들의 의견과 동일하게 저 또한 2021년에는 작년대로 14%(17,997 → 20,550) 정도의 매출액 향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② PER

 

PER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Price/Earning의 비율입니다.

즉, 이익을 가격으로 나눈 비율로서 과거 및 다른 기업과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18841&cid=43659&categoryId=43659

 

PER

PER(Price Earning Ratio)는 한국어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불린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6

terms.naver.com

PER의 경우 2020년 51.87로 10년, 5년, 3년 대비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21년 3월 7일 기준 PER : 47.77)

최근 3년 기준으로 NEE는 31.8 대비 약 63%나 높은 PER을 부여받은 상태입니다.

 

또한 동일 Sector대비 올해 기준 133.95%의 높은 PER을 부여받고 있습니다.

PER을 높게 부여받은 이유는 이 기업의 성장과 미래에 대한 잠재성을 시장에서 높게 평가하고 있는데요

NEE의 PER이 동일 SECTOR 평균값으로 가기 위해서는 2021년에 이익이 2020년 대비 133% 나와야 됩니다.

 

 

 

과거 PER과 SECTOR PER과 비교 시 넥스트라 에너지는 높은 PER을 부여받은 상태로 확인됩니다.

 

여기서 저는 NEE의 과거 PER이 좀 더 정확한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동일 전기 유틸리티 업종이라기는 하지만 유일하게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혜택을 보고 있는 만큼 NEE는 

자체 과거 PER과 비교하는 것이 더 맞다고 보입니다.

 

또한 과거 3년 치 PER과 비교 시 63%나 높은 PER을 부여받았지만

다른 유틸리티 기업과는 다른 PER을 부여받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판단하는 2020년 PER 51.87은 지금 당장은 수치상으로는 높아 보이지만,

시장으로부터 높은 PER을 받는 이유가 명확하기에 높지도 낮지도 않은 PER이라고 판단되어집니다.

또한 일시적인 이익 감소로 인한 PER 증가라고 판단됩니다.

 

확실히 저평가되지는 않았으며 NEE의 저평가 PER는 40선으로 추정됩니다. → 저평가 가격 : 60달러 (현 주가 : 70)

-NEE 3년 치 PER Trend-

 

③ PSR

 

PSR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Price/Sale(Revenue)의 비율입니다.

즉, 매출액을 가격으로 나눈 비율로서 과거 및 다른 기업과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851&cid=43659&categoryId=43659

 

주가매출비율

주가매출비율(PSR)이란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성장성에 주안점을 두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하는 데 이용하는 성장성 투자지표를 말한다. PSR가 낮을수록 저평

terms.naver.com

PSR의 경우 매출액 감소 대비 오히려 PSR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매출액이 줄었음에도 PSR이 줄어든 것은 매출액 대비해서는 오히려 주가는 감소했다는 의미입니다.

 

-NEE 10년 치 PSR Trend-

Sector대비 PSR은 높지만 NEE는 과거 10년 동안 신재생에너지라는

장점으로 다른 PSR을 꾸준히 시장으로부터 받고 있기에 동종업계와의 비교 평가는 무의미하다고 판단됩니다.

 

- NEE vs 동종업계 -

 

저의 사견으로는 넥스트에라 기업의 경우 주기적인 유지보수 및 투자로 인하여 이익(Earning) 부분이 크게 변동됩니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NEE는 현재 인수합병 및 신재생 에너지 장비에 투자를 박차고 있다.)

 

그렇기에 PER보다 PSR에 좀 더 중점을 두어서 판단하는 것이 좋은 판단을 이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투자로 인하여 PER이 한순간 왜곡되어 과소평가되기도 과대평가될 우려가 높습니다.

 

반면 PSR의 경우 매출액을 기준으로 한 지표로서 전기 유틸리티의 기업은 매출액에 대한 부분이 쉽게 예측되기 때문에 

PSR 기준으로 NEE의 상대평가를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 매출액 예측이 쉬운 이유는 2편에서 확인 요청 )

 

결론적으로 NEE의 현재 과거 대비 과대평가는 되지 않았습니다.

 

2. 절대 평가

 

저는 성장률(%), 할인율(%), 2021년 예상치 순이익 전망률(%)을 기준으로 

현재 적정주가에 대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우선 크게 2가지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6 항목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① 금리 인상 1% 기준

 

성장률의 경우

NEE 최근 5년 치 성장률 5% → 하

3년 치 성장률 7% → 중

신재생에너지 수요 증가 전망에 따른 예상치 10% → 상

 

할인율의 경우

금리인상 1% 기준으로 9%로 선정하였습니다.

할인율에 대한 내용은 하단을 참고 바랍니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3472958&cid=40942&categoryId=31913

 

할인율

미래시점의 일정 금액과 동일한 가치를 갖는 현재시점의 금액(현재가치)을 계산하기 위해 적용하는 비율. . 미래시점의 일정금액과 동일한 가치를 갖는 현재시점의 금액(현재가치)을 계산하기

terms.naver.com

 

그리고 올해(2021년) 순이익 추정치는 15명의 애널리스트의 평균값인 4,563백만 달러로 선정하였습니다.

 

적정 주가

 

 

 

② 금리 인상 2% 기준

 

성장률과 내년 순이익은 동일하고

금리 인상 변경으로 인하여 할인율을 10%로 선정하였습니다.

 

적정 주가

 

 

오늘은 넥스에라 에너지의 적정 주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현재 물가상승 즉, 인플레이션은 비용에 대한 인플레이션으로 판단됩니다.

수요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으로서

과거의 PER나 과거의 성장률로 판단하는 것이 적정주가에 대한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용 인플레이션은 말 그대로 비용 상승이 이루어지고 자산 가격 상승에 비례한 합리적인 물가상승이라고 판단됩니다. 즉 일시적인 물가상승이 아닌 지속성을 가진 인플레이션이라고 판단됩니다.

 

결론적으로 지속성을 가진 비용 인플레이션은 전기 유틸리티와 같은 기업의 매출액 상승과 성장률 상승에 기여될 수밖에 없다고 판단되며 NEE의 성장률/年을 7%~10% (기존 5% + 인플레이션(예상치 : 3%))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금리 상승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겠으나 연준에서 물가 상승을 저와 동일하게

비용 인플레이션으로 판단할 경우 금리 인상은  1% 정도(연준 금리 : 1.25%) 상승선에서 마무리될 것으로 판단되어집니다.

 

따라서 제가 현재 판단하고 있는 NEE의 적정 주가는 68~76달러로 판단되고 있으며 

아래 지표를 기준으로 기업 가치 대비 고평가 영역인지 저평가 영역인지 분기별로 판단하여 매매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성장률 10% 기준

성장율 7%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