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부부 일상/재테크

[기업분석]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2편 수익성,성장성,안정성

달이부부 2021. 3. 1. 11:16
반응형

안녕하세요

달이 부부의 달이 남편입니다.

 

오늘은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2편으로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주의사항 : " 투자는 반드시 스스로 공부해야 되며, 항상 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절대 추천하는 상품은 아니며, 투자에 있어 책임은 개인에게 있습니다."

 

1. 기업 주가

 

우선적으로 기업주가 및 기업 경쟁업체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21년 3월 2일 기준 NEE의 주가는 $75.91 (\85,019) 입니다.

 

시가 총액(Market Gap)은 $144.01B (\161.3조원)   ※cf. 삼성전자 시가총액 : 507조 원

 

1년 기준 : 9.07% , 5년 기준 : 161.22% , 10년 기준 : 437.32%의 수익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Seeking alpha
Seeking alpha

 

미국 내 동종 업계(전기 유틸리티) 기업 중 듀크에너지(DUK)가 가장 큰 경쟁 업체입니다

하지만, 넥스트에라 에너지와 듀크에너지 간의 전력 생산량은 약 3배 정도 차이가 발생합니다.(NEE > DUK)

 

Seeking alpha

 

 

2. 수익성

 

매출액 부분을 살펴보시면 2011년~2020년까지 연평균 매출액 상승률은 1.9%입니다.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전기 유틸리티 사업으로서 국가로부터 단가에 대한 통제를 받을 수밖에 없는 기업입니다.

 

그래서 비정상적인 매출액 상승은 사실상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매출액에 대한 예상치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

 

 

전기 유틸리티 기업의 수익성을 볼 때는 Margin율을 중요하게 보셔야 합니다.

매출액 변화가 Dramatic 하게 나오기 어려운 전기 유틸리티 사업에서는 기업의 마진율 즉, 원가절감을 통해

기업의 이익을 얼마나 극대화하고 있는지를 보셔야 합니다.

 

실제로 아래 표를 보시면 마진율이 연평균 2.3% p의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꾸준히 원가절감을 통해 이익률을 지속적으로 높여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또한 1,000 kWh 당 미국 전체 평균 가격은 $141.56인 반면 넥스트에라의 경우 $100.45로

미국 전체 대비 41% 이상 가격인 낮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넥스트에라의 경우 매출액 부분을 제외하고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진율 부분에서는

매우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성장성

 

NEE의 성장성을 평가할 때는 원가절감 , 비용 절감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매출액 향상에는 제약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그렇기에 마진율을 성장률로 보시고 판단하셔야 합니다.

(※ 하지만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로 인하여 매출액 증대도 기대하셔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21년 ESG보고서에서는 30-30 프로젝트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추가적인 원가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앞서서 지속적으로 말해 왔다시피 전기 유틸리티 기업은 원가절감을 얼마나 가져갈 수 있는지가 기업 이익의 핵심입니다.

만약 기업의 이익 즉 마진율이 정체가 된다면 또는 마진율 향상이 발생되기 어렵다면

전기 유틸리티 기업의 투자는 다소 다시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의 사견으로는 NEE의 마진율은 앞으로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왼쪽에 보시면 재생에너지 비융에 대한 지표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해상풍력과 태양광 에너지의 비용이 가스화력발전에 비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NEE의 2023/2024 계획표를 보면 2년 후에는

새로운 해상풍력과 태양광 에너지의 비용은 가스 대비 약 30% 정도의 비용 절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NEER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기에 비용절감에 대한 효과는

머지않아 기업의 이익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FPL의 경우 천연가스에 대한 비중에 높기에 즉각적인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는 발생하기 어려우나, 지속적으로

태양광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비용절감으로 인한 이익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차트는 Operating Cahs Flow(영업 현금흐름) , CAPEX(자본적 지출) , FCF (잉여 현금흐름)에 대한 차트입니다.

우선 용어를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Operating Cahs Flow(영업 현금흐름)이란?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유입이나 현금유출을 말합니다.

제가 영업 이익이 아닌 영업 현금흐름을 보는 이유가 있습니다.

 

재무제표를 보시면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가 있습니다.

 

손익계산서의 경의 이익치를 최대로 설정합니다. 즉, 매출 외상에 대한 부분까지 포함됩니다.

그리고 손실은 최소로 설정합니다. 즉, 매입 외상에 대한 부분은 제외시키게 됩니다.

 

반면 현금흐름표에서는 정확히 계산된 영수증에 표시된 기준으로 산출되게 됩니다.

그렇기에 매출 외상은 수익으로 잡히지 않고 매입 외상의 경우 또한 잡히지 않습니다.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경우에는 일반 고객을 메인으로 상대로 하는 기업입니다.

실제로 일반 고객에 대한 매출이 가장 큽니다. 그렇기에 연체금 또한 많이 발생되게 되는데요

이러한 연체금은 실제로 받지 못할 가능성도 많기에

매출 외상을 이익으로 설정하는 것은 다소 지표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제 아래 지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영업현금흐름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반면 CAPAX 또한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로 가는 것이 보입니다.

 

CAPAX는 한국어로 자본적 지출입니다. 

 

지출에는 수익적 지출과 자본적 지출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수익적 지출의 경우 설비가 동일한 성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에 대한 지출입니다.

자본적 지출은 설비가 기존 기능 이상의 성능 또는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투자하는 지출입니다.

 

여기서 CAPEX가 2019년부터 크게 증가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이유는 신재생에너지의 Trend에 맞춰 NEE가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발생된 지출입니다.

20년도에는 코로나로 인하여 19년 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Consesus기준 21년부터는 다시 전폭적인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확인됩니다.

 

세계 ESG Trend에 맞춰 투자를 계획하고 진행하고 있는 NEE의 경우 미래 잠재력과 성장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됩니다.  

 

 

 

 

4. 안정성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경우 재무 안정성이 훌륭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2020년 기준 동종 업계와 비교만 해도 가장 낮은 부채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네이버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Balance Sheet를 살펴보면, 총자산/총부채 비율이 65%로 확인됩니다.

일반적으로 100% 이하의 비율을 우수한 등급으로 표시합니다.

65%의 비율은 재무적인 측면에서는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유동 부채 비율이 유동자산 대비 약 200%라는 점이 조금 아쉽지만 자산 대비 미비한 수준으로

충분히 용인해주기에 충분합니다.

 

 

Stockrow

 

 

2편에서는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3편에서는 가치 평가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이 많이 보셨던 PER, PSR 등 상대적 가치 평가 방법뿐만 아니라

DCF, RIM과 같은 절대적 가치 평가 또한 진행하여 

투자 가치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화이팅하세요!!

 

2021/03/07 - [분류 전체보기] - [적정주가]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3편 가치 평가

 

[적정주가]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3편 가치 평가

안녕하세요 달이 부부의 달이 남편입니다. 오늘은 글로벌 1위 신재생 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3편인 가치평가[적정주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기업 분석인 1편, 2편을 안 보셨

moon-couple.tistory.com

 

반응형